홍콩,마카오,심천

홍콩, 마카오, 심천 여행(2)-홍콩의 현실

달리는 말(이재남) 2013. 3. 27. 21:26

                                                     

 홍콩 리펄스베이

홍콩 리펄스베이의 영화 모정의 무대로 잘 알려진 고급맨션 

 마카오 카지노 호텔 내부

 마카오 카지노 호텔 내부

 심천 시내의 건축물

 심천 시내의 건축물


 

                                                                  홍콩의 현실

 

홍콩은 계절에 구애받지 않는 그야말로 언제라도 떠날 수 있는 곳이다. 여행을 떠나는 지금의 기온은 평균 섭씨 10도 이므로 여행하기에는 알맞은 온도이다. 여름이라고 해서 평균온도가 섭씨 33도까지 오르기는 하지만 홍콩은 건물과 건물이 잘 연결되어 있고 건물과 교통수단의 내부는 에어컨시설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곳이 바로 홍콩이다.

7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이곳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밀집된 지역의 하나로 인구의 95%가 광동어를 사용하는 중국계 사람들로 구성돼있다. 이들은 관광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하므로 대부분이 영어를 사용하나 작은 음식점이나 재래시장에서는 영어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않아 조금은 답답하겠으나 친절하므로 큰 불편을 느끼지는 않는다.

홍콩은 식민지 이전에는 원주민 등이 정착해 살던 지역으로 아직도 그 당시의 벽이라든지 성벽, 누각 등 역사적 유물들이 남아있다. 이곳, 홍콩은 동서양을 잇는 주요무역항구로서 세계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 지난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반환되어 현재는1국가 2체제원칙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자치구로 운영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크게 홍콩 섬, 이를 마주하고 있는 중국본토에 연결되는 구룡반도, 구룡반도 북쪽의 신계지, 주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홍콩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그 기원이 올라간다. 이 지역은 진시황제 시절에 첫 번째로 병합되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당시 무역항과 해군 기지로써 활용되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서구인은 1513년에 상륙한 포르투갈인인 조르제 알바레스이다. 영국과의 접점은 동인도 회사가 광둥 성 근처 도시에 무역항을 건설한 이후에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홍콩에 대해서는 영국의 식민지가 된 이후부터 세계에 알려졌지만 사실 홍콩은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최근 고고학적 탐사에 의해 밝혀졌는데, 이러한 증거로는 란타우섬에서 발견된 오천년 전의 것으로 확인된 가마를 들 수 있다. 또한 홍콩 주변에는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바위 조각들이 흩어져 있지만 그것의 출처와 중요성 등 구체적인 사실들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유적은 바다를 통하여 홍콩의 해안으로 들어오게 된 최초의 정착민이 사용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약 2000년 전 한나라 시대에 중국은 홍콩을 흡수하여 항구 배후 지역으로 이용하였다. 구룡에 위치한 레이청욱의 한 왕조 묘지는 이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14세기에 광동 인들이 이곳에 정착하였고 뒤이어 하카 인들이 서서히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많은 홍콩인들이 그 당시에 막강한 지배력을 발휘했던 다섯 세도가의 후예들에게 지금까지도 땅세를 내고 있다.

초기 몇몇의 예언가들은 홍콩이 경제적 번영의 중심지가 될 것임을 예언한 바 있다. 홍콩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은 탕카 원주민의 톨로 항 진주 채취를 막기 위해 수비대를 주둔시켰던 투엔문과 타이포에 관한 자료이다. 두 곳은 현재 신계지의 주요 신도시 개발지역이다.

다른 이주자로는 광동지역의 동부로부터 이주해온 혹로 어민들이 있다.

17세기의 이 지역은 반란과 해적의 소굴이었다. 이러한 반란과 해적을 억제하기 위해 그 당시의 새로운 통치자였던 만주족은 이 지역의 주민들을 철수시켰다. 몇 년 후, 이 정책이 폐지되자 이 지역으로 새로운 정착민들이 몰려들었는데, 그들이 하카 혹은 게스트 족이다.

농업이 생업인 이들은 쌀은 물론 차, 향료, 파인애플을 재배하였다. 홍콩의 초기시대에 정착민들이 살았다는 증거들은 오늘날 어촌마을과 소규모 부락단위 마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이곳의 마을 형태와 가옥구조들은 대부분 방어수단으로 벽, 해자, 성문, 누각 등이 그것을 입증하고 있다.